김경중 칼럼 - 위기의 한류,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정부는 중국과의 사드협상에 슬기롭게 대처하여 한류문화 보호와 세력확장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한국 내 사드배치 예정지로 경북 성주군이 공론화 되자 중국은 노골적으로 우리정부에 대해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어디 그뿐인가? 외교무대에서 보여준 중국 왕이 외교부장의 오만과 무례에 가까운 태도에 국익 앞에서 아군도 적군도 없다는 말을 실감케 하고 있다.
중국이 평소 둘도 없는 경제협력 국가이자 동북 아시아 발전과 평화유지를 위한 파트너로 추켜세우던 한국에 대한 태도가 돌변한 이유는 明若觀火하다.
미국과 한국이 주도하는 사드 미사일 방어 체제는 명목적으로는 북한의 위협에 대한 대응이라고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중국에 위협이 된다는 주장이다. 우리 정부가 대통령까지 나서 극구 해명하고 양해를 구하였지만 중국은 마이동풍 격으로 연일 자신들의 억지 주장만 쏟아내고 있고, 온오프 라인 할 것 없이 중국 언론들은 앞장 서서 여론을 호도하고 한국에 대한 경제보복과 반한류를 부추기며 맹공을 퍼붓고 있으니 이미 5500km 초대형 레이더망으로 우리 몰래 한반도 전역을 샅샅이 감시하고 있는 마당에 적반하장도 유분수(賊反荷杖도 有分手)가 아닐 수 없다.
날이 갈수록 격해지고 있는 한국에 대한 反韓感情은 실제 우리 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난 7월 말부터 한국 단체 관광 취소가 이어지더니 반한류 분위기로 국내 엔터테인먼트와 화장품 등 중국 관련 주도 급락하고 있다. 그뿐 아니라 중국에서 활동 중인 한류 스타들의 활동에 연이은 제동이 걸리면서 그 원인으로 사드 보복이 아니냐는 의구심을 떨칠 수 없다.
또한 국내 기업인이 중국 상용 복수비자를 받는 데 필요한 초청장 발급을 대행해 온 중국 무발 국제 여행 유한책임공사 한국 영업소의 자격이 취소됐다. 이에 따라 중국 현지에 공식적인 협력사가 없는 중소기업이나 개인사업자들은 중국 비자 발급에 차질을 빚게 됐다.
우리나라의 산업화, 근대화 과정에서 문화산업이 차지한 비중은 미미하기 짝이 없었다. 우리는 세계에 자랑할만한 유구한 역사와 전통문화를 보유하고 있지만 그것을 컨텐츠화 할 수 있는 제작능력과 기업환경, 그리고 정부의 지원 또한 열악하여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잃고 있었던 게 사실이다.
하지만 정보화 시대를 성공적으로 갈무리하면서 우리 국민들의 우수한 창의력을 바탕으로 한 컨텐츠들이 OSMU(One Source Multi-Use)를 통해 5차 산업화 되었고, 중국과 일본, 그리고 동남아시아와 미국 등 세계 곳곳에서 한국대중문화는 맹위를 떨치기 시작했다.
단순히 춤과 노래뿐 아니라 드라마와 영화 등으로 발전을 거듭해 온 우리나라 문화산업이 한류3.0 시대를 열게 됨으로써 경제적, 사회적, 국가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데 크게 기여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만약 중국이 사드배치를 트집 잡아 중국 내 한류의 바람을 차단하여 보이지 않게 우리 경제의 발목을 잡는다면 국익에 막대한 손실을 입힐 것이며 연일 상승세를 타고 있는 전 세계 한류의 붐에도 타격을 줄 것이 자명하다..
한중 간의 분쟁을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으로 보는 사람들이 적지 않지만 우리는 시의적절하고 허를 찌르는 역제안을 통해 새로운 이슈를 선점하여 당당한 자세로 협상에 임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번 사태로 인해 중국의 항의에 대처하는 우리 정부의 고충 또한 클 것이라 짐작되지만 정부는 이번 반한류의 물결이 더 거세지기 전에 보다 고 강도의 전략적 대응방법을 강구하여 대안을 모색하고 양국 간의 국익에 대한 대차대조표를 명확히 제시함으로써 중국의 일방적인 주장을 거두어들이는 외교적 역량을 십분 발휘해야 마땅하다.
정부는 인기 있는 영화나 드라마 한 편이 자동차 수십 만 대를 수출하는 것보다 훨씬 경제적 수익이 높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미국의 할리우드 영화나 일본의 게임산업이 세계시장을 휩쓸고 있는 현실에서 보듯이 문화산업에 대한 세계 각국의 공격적 마케팅은 가히 총성없는 전쟁터를 방불케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문화산업의 위력과 역동성 또한 앞으로 우리국민을 먹여 살릴 미래의 먹거리로 크게 이바지 할 것이 틀림없다.
특히 한류산업은 단순히 기술적, 산업적 기반을 뛰어넘어 우리나라 고유의 정신적 가치와 역사성, 민족정체성 등 전통과 기층문화를 바탕으로 창작된다는 점에서 정부는 이번 사태를 슬기롭게 대처하여 자국문화 보호와 세력확장에 총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국가혁신포럼 대변인, 문화평론가)